-
이색 만두 볏섬만두? 새해에는 향토 만두로 시작!카테고리 없음 2025. 1. 1. 09:00728x90
볏섬만두 - 이천의 전통적인 만두
볏섬만두란, 경기도 이천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으로, 지역 특산물과 전통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요리입니다.
이 만두는 벼가마니, 즉 볏섬의 모양을 본떠 만들어졌다고 하는데요,
이는 이천이 오랜 시간 동안 품질 좋은 쌀을 생산해온 지역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쌀이 풍부한 이천 사람들은 정월대보름 아침마다 볏섬만두를 만들어 먹으며 그해 농사의 풍년과 가족의 행복을 기원했다고 합니다.
볏섬만두의 이름과 모양은 단순히 시각적 즐거움을 넘어, 이천의 역사적, 문화적인 향토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합니다.
볏섬만두는 단순한 모양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재료에서도 차별화되는 포인트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이천에서만 재배되는 토종무인 게걸무의 시래기를 주요 재료로 활용하는데요,
게걸무는 일반 무에 비해 크기가 작고 단단하며 독특한 매운맛을 풍기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말려 만든 시래기는 소화가 쉽고 씹을수록 깊은 맛을 내어 만두소의 풍미를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준다고 해요.
여기에 들깻가루, 묵나물, 버섯, 돼지고기, 두부 등 신선한 재료가 더해 맛을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또한, 오복을 상징하는 오색 만두피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비트즙, 부추즙, 치자물, 흑미물 등 자연 재료로 색을 내어 시각적 즐거움과 건강함을 동시에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볏섬만두 파는 곳
이천 호법면에 위치한 '돌댕이 석촌골'은 볏섬만두를 이용한 만두전골을 제공하고 있는데,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곳에서는 직접 볏섬만두를 만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는 단순한 요리 체험을 넘어 전통을 배우고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고 합니다.
체험은 만두피를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시작된다.
밀가루와 비트즙, 부추즙, 치자물 등으로 반죽을 만들어 500원짜리 동전 크기로 나눈 뒤 얇게 펴는 작업을 먼저 한다고 합니다.
이어 숟가락으로 소를 올리고, 만두피의 가장자리 중 마주 보는 두 지점을 가운데로 모아줍니다.
나머지 두 부분도 동일하게 가운데로 끌어모아 십자 모양을 완성하는 것이 만두 빚기의 핵심포인트입니다.
완성된 만두는 찜솥에 넣어 약 20분간 쪄낸다. 하지만 볏섬만두는 단순히 찐 만두로 끝나지 않는다.
이곳의 대표 메뉴인 전골 형태로 완성되기 위해, 다양한 채소와 버섯 위에 쪄낸 만두를 올리고, 한우 양지로 우려낸 육수를 부어 마무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볏섬만두의 맛
볏섬만두는 단순히 이천의 향토음식이라는 타이틀에 그치지 않고, 그 독특한 맛과 매력이 있습니다.
만두 속에 사용되는 게걸무 시래기는 고유의 구수한 풍미를 지니고 있어 입안 가득 자연의 맛을 만들어줍니다.
들깨와 시래기의 조화로운 향은 만두 속 깊은 곳까지 스며들어 씹을수록 풍부한 맛이 느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기에 오색 만두피의 쫄깃함이 더해져 시각적, 미각적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이 만두는 기름기가 적어 담백하면서도 깔끔한 맛이 특징으로, 일반적인 만두보다 훨씬 가벼운 느낌을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다양한 연령층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음식입니다.
볏섬만두가 전골 형태로 제공될 때는 그 매력이 더 깊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한우 양지와 무를 우려낸 육수는 깊고 진한 풍미를 자랑하며, 80년 된 씨간장이 더해져 국물의 감칠맛을 끌어올려줍니다.
만두와 채소, 육수가 어우러진 이 전골은 추운 겨울철에 따뜻함과 개운함을 동시에 선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름지지 않은 담백한 국물은 한국인의 입맛에 잘 맞는 스타일!
향토 음식 볏섬만두
볏섬만두는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이천의 역사와 전통을 담은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현대적인 요리 기술과 과거의 전통이 결합된 이 음식은 과거의 풍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습니다.
볏섬만두를 통해 이천의 특산물과 요리법은 한층 더 세련되게 다듬어져 한국을 대표하는 향토 음식인데요,
과거에는 정월대보름이라는 특정한 시기에만 즐기던 음식이지만 이제는 자주 먹을 수 있고 찾아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