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슈톨렌 의미와 뜻 보관 방법과 유통기한
    카테고리 없음 2024. 12. 10. 22:12
    728x90

    크리스마스에 꼭 무언가를 먹어야 한다면 슈톨렌을 먹으라고 하잖아요?

    대체 슈톨렌이 뭐길래 먹어야 하는것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슈톨렌이란

    슈톨렌은 독일의 드레스덴에서 시작된 전통적인 빵으로, 크리스마스를 기념하기 위한 음식이라고 합니다.

    슈톨렌의 모양이 마치 아기 예수를 감싼 포대기를 상징했다고 생각하여 15세기 중세 유럽에서 그 기원이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슈톨렌은 금욕적 의미로 단순한 재료로 만들어졌는데요, 하지만 교황이 버터 금지령을 해제하면서 점점 풍부한 재료를 사용해 발전했습니다. 

    특히, 드레스덴 슈톨렌은 전통적인 레시피와 제조 방식으로 유명하다고 하는데요, 매년 슈톨렌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고 하네요

     

    슈톨렌의 종류

    슈톨렌은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고 하는데요, 

     

    • 드레스덴 슈톨렌: 가장 전통이 깊고 인기가 많은 종류로, 버터와 건과일을 풍부하게 사용합니다
    • 마지팬 슈톨렌: 아몬드 페이스트를 넣어서 더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특징이라고 합니다.
    • 너트 슈톨렌: 호두, 아몬드 등 견과류를 중심으로 한 고소한 맛을 더 극대화 한 제품입니다.
    • 버터 슈톨렌: 버터 함량을 높여 진한 풍미와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합니다.

    슈톨렌 제조 과정

    슈톨렌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제조 과정은 거의 비슷한데요, 이에 따라서 주요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들을 함께 알아보면, 

    건포도, 오렌지 껍질, 레몬 껍질과 같은 말린 과일이 있어 단맛이나 상큼함을 더 높여주는 과일이 들어가구요

    아몬드나 호두와 같은 견과류로 고소한 맛을 높여줍니다. 

     

    여기에 계피, 카다멈, 정향 등 향신료가 풍부한 맛을 더하며, 

    버터와 설탕은 슈톨렌의 풍미를 끌어올려 유통 기한을 연장하는 역할들을 합니다. 

    또한, 선택적으로 케이크 중심부에 마지팬을 넣어 부드럽고 달콤한 질감을 더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슈톨렌은 겉에 슈가파우더를 뿌려 눈이 소복히 쌓인 것처럼 장식되며, 이 설탕 코팅은 보존과 풍미를 올려주는 역할도 합니다.

     

    슈톨렌은 아래와 같이 만들어진다고 하는데요,

    • 반죽 준비: 밀가루, 버터, 설탕, 이스트 등을 섞어 반죽을 먼저 성형해줍니다.
    • 재료 섞기: 건과일, 견과류, 향신료를 반죽에 섞어 줍니다.
    • 슈톨렌 형태 만들기: 반죽을 타원형으로 성형한 뒤 중심부에 마지팬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 굽기: 180℃에서 약 50분~1시간 동안 구워줍니다
    • 숙성: 슈톨렌을 호일에 감싸 약 1~2주 동안 숙성시켜 주는데요 이때, 풍미를 끌어올려줍니다.

    보관 방법

    슈톨렌은 올바르게 보관하면 오랜 기간동안 보관할 수 있는데요, 냉장보관엔 7일, 냉동보관이 가능하다면 조금 더 늘려서 보관하면 좋다고 해요

    보관할 때는 호일로 단단히 감싸고 밀폐 용기에 넣어 서늘한 곳에 두거나 냉장보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영양정보

    슈톨렌 마다,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영양정보는 제각각인데요,

    슈톨렌 한 조각(80그램 기준)의 영양 성분은 칼로리가 약 320~380칼로리, 탄수화물이 약 40~50g이며 설탕은 약 20~25g 정도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단백질은 약 4~6g, 지방은 약 12~16g이며 그중 포화지방은 약 7~10g입니다. 또한 식이섬유는 약 2~ 4g, 나트륨은 약 150~200mg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네요

     

     

    슈톨렌으로 즐겁고 행복한 크리스마스 보내세요!

    728x90
Designed by Tistory.